|
뉴스 > 사회
한국무역협회, 유럽집행위원회 ‘나노물질 정의‘ 권고 수정 발표
|  | | ↑↑ 한국무역협회 | | [포항신문=포항신문]유럽집행위원회(European Commission)는 ‘나노물질 정의‘ 관련 수정된 위원회 권고(Commision Recommendation)를 발표했다.(2022년 6월 10일)
위원회는, 수정된 나노물질 정의는 기존 위원회 권고 (2011/696/EU)* 를 대체하며, EU 내 모든 입법, 정책, 연구 영역에 반드시 적용하여 줄 것을 요청했다.
‘나노물질 정의‘는 위원회 ‘권고(Recommendation)‘로 그 자체로서는 법적 구속력이 없으나, 정의에 포함된 핵심내용은 REACH, 살생물제품 규정(Biocidal Products Regulation, BPR) 및 의료기기 규정(Medical Devices Regulation, MDR) 등에 반영되어 있어 일부 규정 내에서는 법적 구속력이 있다.
위원회에 따르면, 신규 나노물질 정의는 기존 나노물질 식별 범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며, 수정된 권고에 따라 효율적인 입법 구현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.
[수정된 권고 내 EC 나노물질 정의]
‘나노물질‘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의도적 혹은 부수적으로 제조된 물질로, 응집체 또는 집합체 형태로 존재하거나 식별 가능한 구성입자로 존재하는 고체입자이며, 입자 수 분포의 50 % 이상이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한다(‘Nanomaterial’ means a natural, incidental or manufactured material consisting of solid particles that are present, either on their own or as identifiable constituent particles in aggregates or agglomerates, and where 50% or more of these particles in the number-based size distribution fulfil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):
1. 최소 1개 이상의 외형치수가 1 nm 내지 100 nm 크기 범위인 입자(one or more external dimensions of the particle are in the size range 1 nm to 100 nm);
2. 막대, 섬유 또는 튜브와 같은 긴 형태이며, 2개의 외형치수가 1 nm 보다 작고 다른 치수가 100 nm 보다 큰 입자(the particle has an elongated shape, such as a rod, fibre or tube, where two external dimensions are smaller than 1 nm and the other dimension is larger than 100 nm);
3. 접시 형태이며, 하나의 외형치수가 1 nm 보다 작고, 다른 하나의 치수가 100 nm 보다 큰 입자(the particle has a plate-like shape, where one external dimension is smaller than 1 nm and the other dimensions are larger than 100 nm).
입자 수 기반 크기 분포 결정에 있어서, 적어도 2개의 직각 외형치수가 100 μm보다 큰 입자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(In the determination of the particle number-based size distribution, particles with at least two orthogonal external dimensions larger than 100 μm need not be considered).
단, 비체적 표면적이 6 m2/cm3 미만인 물질은 나노물질이 아니다(However, a material with a specific surface area by volume of ` 6 m2/cm3 shall not be considered a nanomaterial).
[출처 : Nanotech] |
포항신문 기자 / 114ddd@hanmail.net  입력 : 2022년 06월 20일
- Copyrights ⓒ포항신문.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-
|
|
인물·여론광장
기획
|
|
|
|
|
제호 : 포항신문 / 주소: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대흥동 661-7 / 대표전화 : 010-6564-0561
정기간행물 등록번호 : 경북,가00048 / 등록일 : 2019년 12월 08일 / 발행ㆍ편집인 : 이채근
청소년보호책임자 : 김병철 / mail : topone@kakao.com
포항신문 모든 콘텐츠(기사, 사진, 영상)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, 배포 등을 금합니다.
Copyright ⓒ 포항신문 All Rights Reserved.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.
|
방문자수
|
어제 방문자 수 : 52,965 |
오늘 방문자 수 : 37,724 |
총 방문자 수 : 24,797,850 |
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