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종편집:2025-07-29 오후 06:13:31
주요뉴스
뉴스 > 경제

경북도, 유통취약농가 판로확대 지원사업 큰 성과


포항신문 기자 / 114ddd@hanmail.net 입력 : 2022년 11월 24일
트위터트위터 페이스북페이스북 밴드밴드 카카오스토리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블로그
10월말까지 36개 마을 1,917농가 참여, 매출 40억원 육박
↑↑ 유통취약농가(상주시 사벌국면 청년농)
[포항신문=포항신문]경상북도는 제값 받고 판매걱정 없는 농업 실현의 일환으로 지난 2020년부터 ‘농식품 유통취약농가 판로확대 지원사업’을 추진하고 있다.

이 사업은 취약농가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마을별 유통거점을 통해 유통하기 위해 관리자 수당, 순회수집, 농가조직화와 품질관리 교육, 택배비, 포장재, 홍보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.

또 대구에서 매주 개장하는 직거래장터인‘바로마켓’특판 행사 지원, 경북 온라인 쇼핑몰 전용관 입점과 할인이벤트, 생산자가 직접 참여하는 라이브커머스 등 온·오프라인 판매와 홍보도 지원하고 있다.

사업 첫해인 2020년에는 20개 마을 648농가가 28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고, 2021년에는 34% 증가한 37억 원을 달성해 농업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.

특히, 올해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지난해와 같은 37억원을 달성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1% 증가한 실적으로 연말까지는 45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.

아울러, 참여농가는 2020년 648명의 3배인 1917명으로 농업인들로 부터 큰 호응을 얻으며 실제 농가소득 향상에도 큰 몫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이러한 사업성과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소농, 고령농, 여성농 등 유통취약농가 30농가 이상으로 대상자를 한정했다.

하지만, 올해부터는 다문화여성농·청년농 등 규모화가 어려운 경우에는 5농가 이상이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사업에 즉각 반영했다.

또 마을별 유통거점의 평균 참여 농가수가 33명에서 53명으로 확대되는 등 규모 확대에 따른 실질적 소득 증가가 그 원인으로 풀이된다.

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“유통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고령농, 다문화여성농업인 등 유통취약 농업인들도 농사만 잘 지으면 파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결실이 조금씩 나타나는 것 같다”며, “앞으로도 유통취약농가에 대한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”고 말했다.

한편, 유통취약농가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경북 농특산물 온라인 쇼핑몰인‘사이소’의‘함께사는행복마을’테마관에서도 구입이 가능하고, 매주 월요일 일부 품목에 대해 특판 행사도 진행하고 있다.
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
경북소식 +
인물·여론광장
대구 북구청은 4월 2일 칠곡경북대.. 
군위군은 대구공항을 이용한 2017.. 
대구광역시 남구청은 지난 1일 삼성.. 
기획
제호 : 포항신문 / 주소: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대흥동 661-7 / 대표전화 : 010-6564-0561
정기간행물 등록번호 : 경북,가00048 / 등록일 : 2019년 12월 08일 / 발행ㆍ편집인 : 이채근
청소년보호책임자 : 김병철 / mail : topone@kakao.com
포항신문 모든 콘텐츠(기사, 사진, 영상)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, 배포 등을 금합니다.
Copyright ⓒ 포항신문 All Rights Reserved.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.
방문자수
어제 방문자 수 : 26,123
오늘 방문자 수 : 21,142
총 방문자 수 : 24,858,386